[Spring boot] Bank App - 회원가입
·
Spring
1. dto 설계 하기 및 개념 확인(사전 기반 지식)🔹DTO 설계 및 개념 이해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DTO(Data Transfer Object)와 Model을 분리하는 것은 유지보수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설계 원칙 중 하나입니다. ✅ DTO와 Model의 차이점 구분 DTO (Data Transfer Object) Model (Entity, Domain Model) 역할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전달DB 테이블과 매핑되는 비즈니스 객체사용 목적View-Controller 간의 데이터 교환데이터베이스 저장 및 조회설계 방식주로 @Getter와 @Setter만 포함JPA Entity, @Entity, @Table 사용✅ DTO와 Model을 분리하는 이유가독성과 유지보..
[Flutter] MVVM + 상태관리
·
Flutter/Dart 언어
📝 Flutter Riverpod을 활용한 MVVM 패턴 정리Flutter에서 Riverpod을 활용한 MVVM 패턴을 적용하면 상태 관리를 더욱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MVVM 패턴을 Riverpod을 활용하여 개선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1️⃣ MVVM 패턴이란?👉 UI(View)와 비즈니스 로직(Model)을 ViewModel을 통해 분리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테스트 용이성을 높이는 패턴👉 기존의 setState() 방식 대신 Riverpod을 활용하여 전역 상태 관리2️⃣ MVVM 패턴 구현이번 구현에서는 Riverpod을 사용하여 MVVM 패턴을 적용할 것입니다.📌 구조Model (todo_item.dart): 데이터 모델을 정의.ViewMode..
[Flutter] MVVM 패턴에 대해서 알아 보자
·
Flutter/Dart 언어
📝 Flutter MVVM 패턴 정리Flutter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MVVM (Model-View-ViewModel) 패턴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MVVM 패턴의 개념과 코드 예제를 통해 어떻게 구조화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앱 아키텍처란?✅ 개념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구조와 구성요소,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설계 원칙입니다.쉽게 말해, 앱을 구성하는 방법론을 의미합니다.다양한 아키텍처 패턴이 존재하지만, 기본 원리는 동일합니다.역할별로 레이어를 나누어 각 레이어가 자신의 역할에 집중하도록 설계.이를 통해 수정, 테스트,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2️⃣ MVC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 개념가장 기본적인 디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