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Bank App - 로그인 처리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회원 가입 화면을 구현하고, H2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여 초기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을 다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그인, 로그아웃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Spring Boot와 JSP를 활용한 로그인 기능 구현하기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기능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와 JSP를 활용하여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학습 목표1. signin.jsp 파일 생성 및 로그인 화면 요청 기능 구현2. 로그인 처리 기능 만들기3. 로그아웃 기능 만들기1. 로그인 페이지(signin.jsp) 생성 및 요청 처리📌 로그인 화면 JSP 생성로그인 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해 signin.jsp 파일을 생성합니다.이 파일은 ..
Spring[Spring boot] Bank App - 회원가입(화면구현)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회원 가입 로직을 설계하고 구현한 것에 이어, 이번에는 회원 가입 화면을 구현하고 H2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여 초기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 H2 의존성 추가 (build.gradle)dependencies { runtimeOnly 'com.h2database:h2'} 📌 의존성 확인: H2가 정상적으로 추가되었는지 확인 후 Gradle refresh 실행✅ application.yml 설정spring: datasource: url: jdbc:h2:mem:bankdb;MODE=MySQL # 인메모리 DB 사용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sername: sa password: '' sql:..
[Spring boot] Bank App - 회원가입
·
Spring
1. dto 설계 하기 및 개념 확인(사전 기반 지식)🔹DTO 설계 및 개념 이해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DTO(Data Transfer Object)와 Model을 분리하는 것은 유지보수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설계 원칙 중 하나입니다. ✅ DTO와 Model의 차이점 구분 DTO (Data Transfer Object) Model (Entity, Domain Model) 역할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전달DB 테이블과 매핑되는 비즈니스 객체사용 목적View-Controller 간의 데이터 교환데이터베이스 저장 및 조회설계 방식주로 @Getter와 @Setter만 포함JPA Entity, @Entity, @Table 사용✅ DTO와 Model을 분리하는 이유가독성과 유지보..
[Flutter] 블로그 만들기 -자동 로그인 기능 구현 및 UI
·
Flutter/App
이번 글에서는 Flutter 블로그 프로젝트의 자동 로그인 기능을 구현합니다.앱을 실행할 때 저장된 JWT 토큰을 이용하여 자동 로그인을 시도하고, 로그인 상태에 따라 적절한 화면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구축합니다.1. 자동 로그인 개념 및 흐름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앱을 실행할 때마다 로그인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따라서, JWT 토큰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동 로그인하는 기능을 구현합니다. 📌 자동 로그인 과정앱 실행 시 저장된 JWT 토큰을 가져옴토큰이 존재하면 서버로 인증 요청을 보냄인증이 성공하면 자동 로그인 처리 및 홈 화면 이동인증이 실패하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토큰이 없다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2. UserRepository에서 자동 로그인 요청 처리자동 로그인을 위해 JWT 토큰을 서버로 전..
[Flutter] 블로그 만들기 - 회원가입 기능 구현 및 UI
·
Flutter/App
이번 글에서는 Flutter 블로그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합니다.서버 요청, 상태 관리(Riverpod), 예외 처리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회원가입 흐름을 만듭니다.1. 회원가입 기능 설계회원가입 요청을 보낼 때 어떤 변수가 필요할까요?뷰모델(SessionGVM)에서 회원가입을 처리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뷰모델의 역할회원 정보 관리회원가입 시 입력된 username, email, **password**를 관리합니다.회원가입 요청 처리서버에 회원가입 요청을 보내고, 성공하면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예외 처리네트워크 오류, 서버 에러 등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합니다.2. UserRepository에서 회원가입 요청 처리UserRepository는 서버 API와 통신하는 역할을 ..
[Flutter] 블로그 만들기 - 로그인 기능 구현 (상태관리 및 예외처리)
·
Flutter/App
이번 글에서는 Flutter에서 로그인 기능 구현을 다룹니다.특히, **상태 관리(Riverpod)**를 활용하여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고, **예외 처리(ExceptionHandler)**를 적용하여 보다 안전한 로그인 프로세스를 구축합니다.1. 로그인 기능 설계로그인 요청을 보낼 때 어떤 변수가 필요할까?뷰모델(SessionGVM)에서 세션 유저(SessionUser)를 관리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 뷰모델의 역할세션관리 :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정보(ID, username, accessToken, 로그인 여부)를 저장로그인 처리: 서버에 로그인 요청을 보내고, 성공 시 JWT 토큰을 저장하고 상태를 유지예외 처리: 네트워크 오류, 서버 에러 등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알림.2. 상태 ..
[Flutter] 블로그 만들기 - 기본 프로젝트 설정
·
Flutter/App
Flutter로 블로그 앱을 만들기 위한 기본 프로젝트 설정을 정리한 글입니다. 필요한 라이브러리, 테마 설정, 네비게이션 및 기본 페이지 구조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1. 프로젝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추가pubspec.yaml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추가합니다.cupertino_icons: ^1.0.8flutter_svg: ^2.0.6intl: ^0.18.1dio: ^5.2.0 #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 입니다.flutter_riverpod: ^2.3.6 # 상태관리 Riverpod 라이브러리 입니다.logger: ^1.3.0 # 콘솔창에서 결과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Log 라이브러리입니다.flutter_secure_storage: ^8.0.0 # 어플리케이션 Secure 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