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Bank App - 어노테이션 정리
·
Spring
🚀 Spring 주요 어노테이션 정리Spring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각각의 역할과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면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 @Autowired**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필드, 생성자, 메서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Spring 컨테이너에 등록된 빈(Bean)을 자동으로 주입해 줍니다.🔹 @Controller웹 애플리케이션의 컨트롤러 클래스를 표시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Spring MVC에서 컨트롤러로 인식되어 요청을 처리하고 적절한 View를 반환합니다.🔹 @Service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서비스 클래스를 표시하는 어노테이션입니다.일반적으로 컨트롤러와 데이터 액세스 계..
[Spring boot] 💸Bank App - 입금 기능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출금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입금 기능 구현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Spring Boot를 활용한 입금 기능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 입금 기능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를 활용하여 입금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계좌 존재 여부 확인부터 입금 처리, 거래 내역 등록까지의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학습 목표account/deposit.jsp 파일 생성DepositDto 파일 생성입금 기능 구현오류 테스트 확인 생성 될 파일 확인 📁1. account/deposit.jsp 파일 생성📌 입금 화면 생성기존 save.jsp 파일을 복사하여 account/deposit.jsp를 생성하고, 아래 코드를 수..
[Spring boot] Bank App - 출금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계좌목록 조회를 구현했습니다.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금 기능 구현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Spring Boot를 활용한 출금 기능 및 디버깅 모드 실행 🚀이전 포스팅에서는 계좌 목록 조회 및 계좌 생성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사용자의 계좌 출금 기능을 구현하고,디버깅 모드를 활용하여 코드의 실행 흐름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학습 목표출금 기능을 위한 withdrawal.jsp 페이지 구현출금 요청을 처리하는 AccountController 코드 추가출금 로직을 수행하는 AccountService 구현 (트랜잭션 적용)거래 내역(History) 저장 방식에 대한 이해디버그 모드를 활용한 코드 실행 흐름 분석1. withdrawal.jsp 파일 ..
[Spring boot] Bank App - 계좌 목록 조회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계좌생성을 구현했습니다.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좌 목록 조회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Spring Boot를 활용한 계좌 목록 조회 기능 구현 🚀이번 글에서는 계좌 목록을 조회하는 기능을 단계별로 구현하겠습니다.📌 학습 목표AccountRepository 및 account.xml을 수정하여 계좌 목록 조회 기능 추가AccountService 및 AccountController에서 계좌 목록 조회 기능 구현account/list.jsp를 생성하여 계좌 목록 화면 구성1. AccountRepository 및 account.xml 코드 수정✔ 기존 문제점 확인 select * from account_tb  위와 같은 쿼리는 모든 계좌를 조회하는 문제가 있습니다.따라서 특정 ..
[Spring boot] Bank App - 계좌 생성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로그인, 로그아웃을 구현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좌 생성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Spring Boot로 계좌 생성 기능 구현하기웹 애플리케이션에서 계좌 생성 기능은 금융 서비스의 핵심 기능 중 하나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와 JSP를 활용하여 계좌 생성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학습 목표account/save.jsp 파일을 생성하고 AccountController를 구현하기AccountSaveDTO 설계하여 계좌 정보를 관리하기계좌 생성 기능을 구현하고 예외 처리를 적용하기💡 파싱(Parsing)이란?파싱(Parsing) 은 주어진 데이터(예: 문서, 파일, 문자열 등)를 분석하여 구조를 이해하고,필요한 정보를 추출 또는 ..
[Spring boot] Bank App - 로그인 처리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회원 가입 화면을 구현하고, H2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여 초기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을 다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그인, 로그아웃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Spring Boot와 JSP를 활용한 로그인 기능 구현하기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인 기능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와 JSP를 활용하여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학습 목표1. signin.jsp 파일 생성 및 로그인 화면 요청 기능 구현2. 로그인 처리 기능 만들기3. 로그아웃 기능 만들기1. 로그인 페이지(signin.jsp) 생성 및 요청 처리📌 로그인 화면 JSP 생성로그인 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해 signin.jsp 파일을 생성합니다.이 파일은 ..
Spring[Spring boot] Bank App - 회원가입(화면구현)
·
Spring
👨‍💻 지난 포스팅에서 회원 가입 로직을 설계하고 구현한 것에 이어, 이번에는 회원 가입 화면을 구현하고 H2 데이터베이스를 설정하여 초기 데이터를 셋팅하는 과정을 다뤄보겠습니다. 🚀✅ H2 의존성 추가 (build.gradle)dependencies { runtimeOnly 'com.h2database:h2'} 📌 의존성 확인: H2가 정상적으로 추가되었는지 확인 후 Gradle refresh 실행✅ application.yml 설정spring: datasource: url: jdbc:h2:mem:bankdb;MODE=MySQL # 인메모리 DB 사용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sername: sa password: '' sql:..
[Spring boot] Bank App - 회원가입
·
Spring
1. dto 설계 하기 및 개념 확인(사전 기반 지식)🔹DTO 설계 및 개념 이해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에서 DTO(Data Transfer Object)와 Model을 분리하는 것은 유지보수성과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설계 원칙 중 하나입니다. ✅ DTO와 Model의 차이점 구분 DTO (Data Transfer Object) Model (Entity, Domain Model) 역할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전달DB 테이블과 매핑되는 비즈니스 객체사용 목적View-Controller 간의 데이터 교환데이터베이스 저장 및 조회설계 방식주로 @Getter와 @Setter만 포함JPA Entity, @Entity, @Table 사용✅ DTO와 Model을 분리하는 이유가독성과 유지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