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는 정수형과 문자형 자료형을 실습과 함께 배워봤어요.
이번 글에서는 소수점이 있는 실수형 자료형과 참/거짓을 표현하는 논리형(boolean) 자료형을 다뤄봅니다.
💡 학습 목표
- 실수형(float, double)의 개념과 차이점 이해
- L-value 와 R-value의 의미
- 논리형(boolean)의 정의와 사용법
- 관련 실습 코드를 통해 직접 확인해보기
1️⃣ 실수란 무엇인가?
실수(Real Number) 는 정수가 아닌 수를 포함하는 수학적 개념입니다.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가진 값들을 의미하며, 자바에서는 이를 표현하기 위해 실수형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예시: 3.14, -0.5, 1.732, 0.0 등
2️⃣ 실수형 자료형 - float / double
자료형 | 크기 | 특징 | 예시 |
float | 4 byte | 소수점 표현, f 접미사 필요 | float f = 1.5f; |
double | 8 byte | 기본 실수형, 더 정밀함 | double d = 3.1415; |
✏️ 실습 코드 예제
package basic.ch01;
public class DataType3 {
// 메인 함수 - 코드의 시작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기본 데이터 타입
// 참조 타입
// 기본 데이터 타입 - 실수형
// float, double
float floatBox1 = 0.5f; // 4바이트 , F 는 접미사
float floatBox2 = 0.5F; // 접미사 대소문자 둘다 사용 가능
double doubleBox1 = 0.123;
double doubleBox2 = 1.12345678;
// double 8byte 크기이다. 실수에 기본 연산 단위 이고 그 이유는
// 소수점을 더 많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값에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 콘솔창 결과 출력 - 콘솔창에서는 기본적으로 정확한 데이터 타입을 확인할 수 없다.
System.out.println(floatBox1);
System.out.println(doubleBox1);
System.out.println(0.5f);
System.out.println(0.10d);
} // end of main
} // end of class
💡 double은 실수의 기본 타입으로, 아무 접미사 없이 실수를 쓰면 기본적으로 double로 인식됩니다.
3️⃣ L-value 와 R-value 개념
이 개념은 변수와 값의 관계를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해요.
int age = 30;
용어 | 의미 |
age | L-value: 값을 담는 공간 (변수) |
30 | R-value: 실제 값 |
💡 자바에서는 정수의 기본 타입은 int, 실수의 기본 타입은 double
→ float, long 등을 쓰려면 반드시 **접미사(f, L)**를 붙여야 합니다.
4️⃣ 논리 자료형 - boolean
논리형 자료형은 true 또는 false만 저장할 수 있습니다.
주로 조건문, 반복문, 상태 체크 등에서 사용되며, 프로그래밍의 논리 흐름을 제어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 boolean 특징
- 크기: 1 byte
- 값: true, false
- 용도: 조건 판단, 상태 저장 등
✏️ 실습 코드 예제
package basic.ch01;
public class DataType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기본 자료형
// 논리 자료형 (사실을 관찰하고 결과값이 참, 거짓 판별)
// 크기는 1byte 크기 상자 이다. [][][][][][][][1]
boolean isMarried = false; // 변수에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System.out.println(isMarried);
isMarried = true;
System.out.println(isMarried);
boolean isOk; // 변수에 선언
isOk = true;
System.out.println(isOk);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true);
System.out.println(false);
} // end of main
} // end of class
🧠 핵심 정리
구분 | 자료형 | 크기 | 예시 | 특징 |
실수형 | float | 4 byte | 3.14f | 접미사 f 필요 |
실수형 | double | 8 byte | 3.14159 | 기본 실수형, 정밀 |
논리형 | boolean | 1 byte | true / false | 조건문에 자주 사용 |
- 실수형은 double이 기본이고, float은 f 붙여야 함
- boolean은 참/거짓만 저장, 코드 흐름 제어에 핵심
- L-value와 R-value는 값을 담는 변수 vs 값 그 자체
✨ 마무리하며
실수형과 논리형은 숫자 계산과 논리 흐름 제어에 필수적인 데이터 타입입니다.
자료형의 의미와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면, 변수와 연산자까지 훨씬 쉽게 다가올 거예요.
⏭️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상수(Constant) 에 대해 배워볼게요.
final 키워드를 사용해 변하지 않는 값을 선언하고,
리터럴과의 차이 및 면적 계산 실습 예제도 함께 알아봅니다.
👉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
🔙 이전 글 보기
정수형과 문자형이 궁금하다면?
📘 Java 기초 - 정수형 + 문자형
이전 글에서는 자바 자료형의 전체 구조를 정리했고, 이번 글에서는 그중 정수형과 문자형 자료형을 집중적으로 다뤄볼게요.컴퓨터에서 숫자와 문자가 어떻게 저장되고 표현되는지도 시각적으
seohong.tistory.com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기초 - 형 변환 & 명령어 컴파일 실행 (0) | 2025.04.17 |
---|---|
📘 Java 기초 - 상수(Constant) (1) | 2025.04.16 |
📘 Java 기초 - 정수형 + 문자형 (1) | 2025.04.15 |
📘 Java 기초 - 자료형(Data Type) 총정리 (3) | 2025.04.15 |
📘 Java 기초 - 변수(Variable) 란?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