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Java 기초 - 자료형(Data Type) 총정리
공돌이 출신 개발자
2025. 4. 15. 10:00
728x90
이전 글에서는 변수의 개념을 배워봤어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의 자료형(Data Type) 을 전체적으로 정리해봅니다.이후 정수형/문자형, 실수형/논리형은 별도 글에서 자세히 실습해볼 거예요.
💡 학습 목표
- 자료형이 무엇인지 이해하자
- 자바의 자료형 분류 구조를 파악하자
- 메모리 크기, 표현 방식, bit와 byte의 개념을 정리하자
- 정수/실수/문자/논리 타입을 한눈에 비교하자
1️⃣ 자료형(Data Type)이란?
자바에서 자료형(Data Type) 은 변수에 어떤 종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지 결정합니다.
자료형에 따라 저장되는 값의 크기와 표현 방식이 달라지며, 메모리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도 영향을 줍니다.
2️⃣ bit와 byte 개념 정리
용어 | 설명 |
bit | 컴퓨터가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단위 (0 또는 1) |
byte | 8개의 bit → 1 byte = 8bit |
예시 | 1바이트 메모리 안에 01000001 → 숫자 65 → 문자 'A' |
정리
- bit는 물리적 최소 단위
- byte는 데이터를 표현하는 논리 단위
- 8bit = 1byte는 꼭 기억!
변수 상자의 유형이다 라고 생각해 보자.
: 상자에 유형을 먼저 정해 놓고 거기에 맞춰서 옷을 담을 수 있도록 규칙을 만들어 보자.
자바 언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타입들
3️⃣ 자바 자료형의 분류
자바 자료형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구분 | 설명 | 예시 |
기본형 (Primitive) | 실제 값을 저장 | int, double, char, boolean |
참조형 (Reference) | 객체의 주소를 저장 | String, 배열, 클래스 등 |
✏️ 예제 코드
package basic.ch01;
/**
* 데이터 타입이란
* 상자에 들어 갈 수 있는 값의 유형과 크기를 지정하는 것
*/
public class DataType1 {
// 코드의 시작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데이터 타입에 종류
// 1. 기본 자료형 (primitive data type)
// 2. 참조 타입 (Reference type)
// 기본 자료형
// [정수형, 문자형(문자열x), 실수형, 논리형 ] 4가지로 구분 하자.
// 정수형 - 정수는 소수점 이하를 포함하지 않는 숫자를 의미 합니다.
// 1, 2 -5, 100 등은 모두 정수 입니다.
byte byteBox; // 1바이트 -> 네모칸 한칸은 1bit --> 8bit --> 1byte;
short shortBox; // 2바이트 -> 16bit -> 2byte
int intBox; // 4바이트 -> 32bit
long longBox; // 8바이트 -> 64bit
// 위 상자들은 정수값을 담을 수 있는 상자인데 크기가 정해져 있다.
byteBox = -128;
byteBox = 127; //
shortBox = -32768;
shortBox = 32767;
// 약+- 21억까지 사용 가능 하다.
intBox = -2147483648;
intBox = 2147483647;
// 약 경까지
longBox = -9223372036854775808L; //숫자 마지막에 L은 접미사라고 합니다.
longBox = 9223372036854775807L; //int 값이 아니라 long 값이라고 표시 용도이다.
// L value = R value
// 보통 오른쪽에 기술 되는 수의 기본 단위는 4바이트 크기인 int 형으로 먼저 인지한다.
// 정수형에 기본 연산 단위는 int형 이다.
} // end of main
} // end of class
4️⃣ 기본형 자료형 전체 요약표
자료형 | 크기 | 저장 예시 | 설명 |
byte | 1 byte | -128 ~ 127 | 가장 작은 정수형 |
short | 2 byte | ±32,767 | 작은 정수형 |
int | 4 byte | ±21억 | 기본 정수형 |
long | 8 byte | 큰 숫자, 뒤에 L | 가장 큰 정수형 |
float | 4 byte | 3.14f | 작은 실수, f 필수 |
double | 8 byte | 3.14159 | 기본 실수형 |
char | 2 byte | 'A', '가' | 문자 1개 |
boolean | 1 byte | true/false | 논리값 |
5️⃣ L-value 와 R-value
자료형과 대입 연산은 항상 함께 움직여요!
int age = 30;
용어 | 의미 |
age | L-value (저장소) |
30 | R-value (값 자체) |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수는 int, 실수는 double로 인식돼요.
예외적으로 다른 타입을 쓰고 싶다면 접미사를 붙여야 합니다.
- L : long
- f 또는 F : float
- d 또는 D : double (기본이므로 생략 가능)
📌 핵심 정리
- 자바의 자료형은 기본형 8가지 + 참조형
- 정수, 실수, 문자, 논리 → 각기 다른 크기와 범위
- bit = 0, 1의 최소 단위, byte = 8bit
- 변수에 어떤 자료형을 쓰는지는 메모리 효율과 정확도에 영향을 준다
✨ 마무리하며
이 글에서는 자바 자료형의 큰 그림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부터는 자료형을 하나씩 실습과 함께 다뤄볼 거예요.
⏭️ 다음 글 예고
정수형 + 문자형 실습하기
각 타입의 범위, 크기, 문자 인코딩, char의 내부 저장 방식까지 실습으로 확인해봐요!
👉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
🔙 이전 글 보기
변수가 궁금하다면?
📘 Java 기초 - 변수(Variable) 란?
이전 글에서는 Hello World를 출력해보며 자바의 기초 구조를 익혔다면, 이번에는 자바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변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학습 목표변수의 개념 이해변수 선언 및 사용 방법
seohong.tistory.com